고대 인류의 문명사-요하문명
요하 문명 다른 말로는 홍삼 문화, 발해 연안 문명이라고 하며 이 홍삼 문화는 현재 중화인민공화국인 중국의 랴오닝성에 존재했었던 신석기시대의 문화로 볼 수가 있으며 자세히 보면 현대의 중화인민공화국인 중국의 랴오닝성 조 양 시 일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이 요하 문명의 가장 큰 특징은 빗살무늬 토기와 적성초에 그리고 옥기는 대한민국 즉 한반도의 강원도 고성군 패총에서 출토되었던 7000년 전의 옥 귀걸이와 6000년 전의 전라남도 여수 안도리에서 발견되었던 옥 장신구와 귀걸이와 비슷한 점이 많아서 고조선과 관련하여 한반도의 초기 역사와도 관련이 있을 거라고 추측하며 주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요하 문명의 개요를 보자면 1908년에 도리이 류모라는 일본의 인류학자에 의해서 처음 발견되었다고 하며 이 요하 문명의 연대를 보자면 기원전 4700년경부터 기원전 2900년경으로 지금까지 발견 당시에 틈새 성인 츠펑과 링위안, 뎬핑과 차오양 등 500여 곳의 유적을 찾아내었으며 발견 지역으로는 옌산산맥의 북쪽으로 랴오허 지류의 서 랴오허 상류 부근으로 넓게 퍼져 있다고 합니다. 요하 문명은 옥으로 유명하여 옥 문명이라고 하면 홍삼 문화 또는 홍삼 문명이라고도 하며 1980년대를 기점으로 중국은 본격적으로 발굴을 시작하였으며 요 일대의 신석기 문화로 이어지는 상궁과 문화, 룽산문화, 나와봐도 겨우 문화 문화로 보며 문화의 단계를 넘어선 새로운 문명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랴오허 문명'으로 지칭하여 부르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점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왜곡으로 보는 것이 맞으며 이 시기에는 단군 시대인 고조선시대의 이전의 환웅의 시대와 동일한 시기라고 볼 수가 있으며 영역적으로도 고조선이 지배한 영역과 비슷하고 볼 수가 있습니다. 위치를 보자면 츠펑시는 내몽골 자치구에 있는 도시이며 붉은 기운이 도는 홍삼이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옥기가 발견돼서 홍삼 옥기라고 불리었으며 중국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는 홍삼 뒤쪽에서 발견이 됐기에 내몽고의 자치구에 있는 츠펑시에 존재하고 있는 홍삼 호우 후 유적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며 지금은 내몽골 자치구의 동남부와 랴오닝성의 서부와 중부 그리고 동부가 이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러한 홍삼의 문화는 1906년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하며 도리이 류모라는 일본의 유명한 인류학자이자 고고학자인 이 사람이 절봉 일대 지표조사를 하던 중에 우연히 많은 신석기시대의 유적들과 함께 적석묘라고 불리는 돌로 쌓은 묘를 발견하면서 발견됐다고 이 유적은 후대에 놀라게 하는 홍삼 문화 적석총 유적으로 불리게 된다. 이러한 발견에도 불구하고 당시에는 큰 이목을 끌지 못하였으나 20세기 초에 프랑스 예수회 신부인 에밀 리쌍이 중국에 와서 22곳의 신석기 유적을 발견하게 되었고 앞서 발견한 일본학자인 도리이 류 조와 같이 간단한 글만 남겨 놓았다고 한다. 하지만 1920년대에 이러한 글을 놓치지 않은 한 사람이 있었는데 이는 중국의 철학자인 량치차오의 아들이며 미국 하버드대에서 유학하고 있었던 고고학도의 량쓰용이였다고 한다. 이 글을 본 량쓰용은 1930년에 귀국하여 그해 겨울에 절봉으로 향하였으며 이때 량쓰용은 중국의 중앙연구원 고고 분과 담당자로 임명되어 지냈으며 이러한 담당자로서 내몽골의 임시 일대와 헤이룽장 등 동복 지방에서 잇따른 신서기 유적 발견을 바탕으로 본격적으로 발굴작업을 계획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에도 불구하고 정서적인 불안정과 건강의 악화로 인하여 발굴작업은 지연이 이루어지고 1934년에 학계에 첫 보고인 열하고고 보고로 만족해야 했으며 그 보고서에는 랴오닝, 지린, 헤이룽장, 틈새 성을 나타내는 동북 4성의 발굴작업을 완성하지는 못하였지만 절대로 잊어서는 안 된다고 적혀있다고 합니다. 그런데도 실제로 발굴은 하마다 고사쿠로 일본의 고고학의 아버지로 당시에 대규모로 발굴인 단을 데리고 와서 발굴을 진행하게 되었으며 결국 1906년에 도리이 류모라는 일본 고고학자에 발견이 되어 1935년에 일본의 하마다 코사크와 미즈노 센 이치 등 일본에 의해 대규모 조사가 이루어졌다고 하면 이 전후로 각지에서 유적 발굴이 잇달았으며 세석기의 특징을 가진 이 문화는 홍삼 후를 기념하여 홍삼 문화라고 1954년에 명칭이 되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문화를 중화인민공화국인 중국은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실시한 중화인민공화국에서의 통일적 다민족 국가론에 입 가학하여 공정 연구의 일환으로 나타내었으며 2003년의 6월부터 중화 문명 팀원 공정이라 하여 중국은 황하문명보다 빠른 랴오허 문명을 중화 문명의 뿌리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규정뿐만 아니라 2012년 7월 초에 중국사회과학원인 고고 연구소에서는 내몽고 제1 공작대와 아오 한치 박물관의 합동 발굴팀을 만들어 중국의 네이멍구자치구에 있는 츠펑시 오 한치의 싱룽고우의 유적 제2지점에서 53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도소 남신사에 즉 흙으로 구운 남 신상을 발굴하게 되었으며 이는 여신상이 발굴됐지만 남 신상은 발굴되지 않았던 홍삼 문화 유적에서 처음으로 남 신상을 발굴하게 된 것이며 이는 중국 최초로 기록이 된다고 한다. 이러한 홍삼 문화의 생활상을 간단히 봐보면 수렵과 채집을 중심으로 생활하였으며 후기에는 기초적인 농작을 보여주기도 하는 신석기시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돼지나 양을 기른 가축 사육을 한 축산도 발달을 하여졌다고 보이지만 수렵이나 채집하여 야생의 식물이나 야생초를 채집 또는 야생 동물을 사냥하기도 하였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