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시대적 구분-중세사
중세시기는 유럽 역사에서 서로마 제국이 465년이 되면서 멸망하면서 4세기에서 6세기에 있었던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이 있었던 5세기부터 14세기에서 16세기에 이르고 있었던 르네상스 시기와 더불어서 1500년~1800년의 근세시대가 시작되기 전까지의 5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시기를 중세로 보고 있으나 이 개념은 동 양에게는 적용하기는 어려우면 유럽 이왕 지역에 중세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학자에 따라서 의견이 서로 맞지 않고 어긋나지만 이외의 지역에 중세 시대가 없었다는 지극히 유럽 중심주의적인 생각이라는 의견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기원후 3세기에서 8세기에 속라틴어에서 분화된 언어들로 이루어져 있는 로망스어군의 역사학자들은 중세 시대를 전기와 후기로 나누고 있으며 독일권과 영업권의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중세를 초기와 성기 그리고 후기의 세 가지 시대로 나누고 있다고 하고 있으며 1862~1935년에 존재하였던 벨기에의 역사가인 앙리 피렌과 1872~1945년에 존재하였던 네덜란드의 역사가인 요한 하위 장악은 20세기 초에 다음의 시대를 세 개의 시대로 구분하였으며 그 구분을 대중화하였다고 하며 이는 476-1453의 약 천년의 시간을 중세로 정하고 있으며 이 시기는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476년에서 비잔티움 제국인 동로마 제국이 멸망한 1453년을 뜻하고 있다고 합니다. 제일 먼저 중세 초기를 476-1000인 약 500년을 중세 초기로 보고 있으며 1000~1300년으로 약 300년을 중세의 성기로 보며 1300-1453으로 약 150년을 중세 후기로 보고 있으며 이렇게 구분을 정하였다고 합니다. 고대 후기에서부터 중세로다는 것을 보자면 우선 고대 후기의 경우에는 지중해를 가지고 있던 로마도 3세기 말에 이르자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는 필사적으로 도시를 재건할 개혁을 가지고 도전하였지만 제대로 되지 않으면서 쇠퇴의 길로 걸어갔으며 인구가 감소하는 형태로 들어서면서 경제는 굳어 실물의 경제화를 하였으며 토지는 일부 대토지 소유자들이 독점하게 되면서 자유농민과 중간층은 몰락하는 길로 걷게 되었으며 점차 로마군들도 게르만 용병들로 채워지면서 무력화가 이루어졌으며 마침내 475년에 이르러 서고 트족이 동로마의 국경을 침입하게 되었으며 이때 유례가 없었던 민족의 대이동이 생기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때 침입하였던 서고트족은 아드리아노플 전투에서 동로마군들을 격파하였으며 더 나아가 콘스탄티노플을 위협하였으며 더 나아가 세력을 늘려가면서 서로마군을 격퇴하였다고 하며 점차 이탈리아반도로 남하하면서 410년에 이르러 영원한 도시라고 불리던 로마가 함락되면서 게르만의 여러 부족이 로마의 다른 영토들을 침범하였다고 합니다. 이러한 결과로 서유럽에서는 다양한 국가들이 건설되었는데 오늘날의 에스파냐인 서고트 왕국이 이탈리아인 동고트와 롬바르드 왕국이 아프리카 북안인 반달 왕국 그리고 남프랑스인 부르군트 왕국 영국인 앵글로·색슨 왕국 등 다양한 여러 나라가 건설되었다고 하며 반면에 동유럽에서도 위와 비슷한 현상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게르만족보다는 조금 느리게 슬라브 민족이 대이동을 시작하게 되었고 이러한 이동으로 동로마 제국 영토를 위협하였지만 6세기 초에 즉위한 대제가 이를 막았다고 하며 이 유스티니아누스 대제는 찬란하였던 로마 제국의 재건을 꿈을 꾸었으며 이러한 꿈을 가지고 에스파냐나 북아프리카를 물론 이탈리아 등 옛 로마의 영토였던 지역들의 영토를 탈환하였으며 안으로는 로마법의 집대성을 편찬하였으며 더 크게는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을 편찬하면서 법제사상에 아주 큰 영향을 미쳤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후에는 동로마 제국의 영토였던 부분은 동부 지중해의 연락 지역으로 줄어들게 되었지만 14세기까지 계속해서 중동 아시아와 서유럽을 잇는 문화적으로 중개역을 담당하기도 하였으며 그리스와 동방의 문화와 전통을 화합하며 계승하려고 하면서 화려한 비잔틴의 문화를 이루어 갔었던 것이 고대 후기의 역사이며 이를 이어서 중세 초기의 역사를 보면 10세기경에 각지에서 이동한 게르만족은 앵글로·색슨족 또는 서고트족을 제외하고는 점차 프랑크 왕족이나 동로마 제국의 통치 아래에 흡수되기 시작하였으며 프랑크 왕국의 경우 카를 마르셀의 사라센 제국의 격퇴로 힘이 강해졌으나 8세기에 이르러서는 피핀에 의해서 카롤링거 왕조가 성립이 됐다고 하며 이때 프랑크 왕국은 로마의 교황과 유지를 강화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지고 있으며 교황 또한 그리스 교황을 대항하기 위하여 세속 군주와의 유대를 바라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교 교류가 이어졌다고 볼 수 있으며 봉건제의 기반이 성립되기 시작한 프랑크 왕국에서는 동시에 중세에 있어서 교황과 군주와의 협력과 항으로 이용이 전개되어 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유스티니아누스 황제 시대 때의 동로마 제국은 번성을 이어 6세기 말부터 발칸에서 이주한 슬라브족과 국내의 반란이 동시적으로 일어나게 되면서 시달리게 되었지만 7세기 초부터는 군관구 제도와 둔전병을 채용하면서 중앙 집권을 강화하기 시작하였으며 7세기 말에는 사라 세균의 침입을 막아서 지키게 되었으며 8세기 초에는 우상숭배의 문제를 계기로 로마 교회와 대립이 시작되었으며 이때의 제국은 종교적으로나 정치적으로 그리스적 국가로서의 독특성을 강하게 가지고 되었으며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가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후에 7세기에 이슬람교가 성립이 되자 이전부터 지금까지 여러 문명을 계승해 오면서도 다른 독자적인 문명인 이슬람 문명을 만들어 내었으며 이슬람의 교조인 무함마드는 알라의 계시를 받아 사람들에게 알라의 종교적 진리를 가르쳤으며 아라비아의 전 부족을 통일하면서부터 이슬람 세계를 건설하는 건설의 기초를 닦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슬람의 세계 확립과 발전에 노력한 칼리프는 불과 한 세기 동안만으로 동쪽으로는 중앙아시아에서 시작하여 인도로까지 서쪽으로는 북아프리카에서 이베리아반도에 걸쳐지는 거대한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이것이 바로 사라센 제국이었던 것이었다. 이 이후에도 정복사업은 계속해서 일어났으나 제3대 칼리프 시대 무렾에 교단 내부의 대립들이 표면적으로 비치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1000년에 이르러서 교황 레오 3세로부터 카를 대제가 로마 제국의 황제로 대신 행할 수 있는 대관이 됨이 따라서 그 막이 시작되었으며 이에 카를 대제는 교황에 의해서 동로마 제국의 황제의 간섭을 받아들이지 아니하며 로마 제국 이래의 통일 제국을 건설하였으며 이 제국은 비잔틴 세계와 이슬람 세계와는 구별이 되는 중세 유럽 세계라는 정치적 문화적 공동체계였던 곳이었다. 이뿐 아니라 카롤링거 르네상스를 일으키면서 민족 이동이기에 몰락이 됐던 문화를 다시 부흥시키기도 하였으며 여러 교들 즉 게르만과 로마 그리고 그리스도교 등의 여러 요소를 합치면서 오늘날까지도 이어져 오는 서유럽 공통의 출발점을 만들어내기도 하였지만 이래로 교역 활동의 중심지였던 지중해가 사라센이 소유하게 됨으로써 서유럽 세계에서는 교환경제 사회가 자연경제 사회로 후퇴가 된 결과를 보이게 되었으며 이 이후에는 왕국도 분열이 이루어지면서 현재의 독일인 동프랑크와 프랑스인 서프랑크 그리고 이탈리아로 3개의 국가로 나뉘어 형성이 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 영국에서도 색슨계의 통일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하며 이때 유럽에서는 점차 장원제가 보급되어가고 있었으며 주종의 관계가 일반화되기 시작하면서 봉건제의 계급사회가 성립되었으며 이때 지역적 집중이 이루어짐으로써 나중에는 영주권이 강화되어 왕권과 대립이 되기까지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지방분권화 경향이 나타났다고 보입니다. 또한 종교적인 면에서도 변화가 일어나게 되는데요 교회도 이른바 교회령을 가지게 되면서 그 권력과 세속의 영주와 다를 바 없을 정도의 권력을 가지게 되면서 중세의 2원적 지배체제가 성립이 됐다고 합니다.